카테고리 없음

구제역 발생 두 달] 설 앞둔 피해 농가 ‘깊어지는 시름’

알 수 없는 사용자 2011. 1. 29. 08:10


구제역 발생 두 달] 설 앞둔 피해 농가 ‘깊어지는 시름’

지난해 11월 29일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29일로 두 달을 맞는다. 그런데도 진정되지 않고 있어 설을 앞둔 구제역 피해 농가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특히 농민들은 자식같이 키운 소와 돼지를 생매장한 충격과 후유증도 컸지만 정부가 구제역 발생 책임의 상당 부분을 자신들에게 떠넘기고 보상 수준도 만족스럽지 않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충남 천안시 수신면에서 젖소 73마리를 살처분한 최의수(54)씨는 생계안정자금을 6개월치밖에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부의 보상 방침에 강한 불만을 터뜨렸다.

최씨는 “살처분 가축은 100% 보상이 나온다 하더라도 다시 착유할 수 있는 젖소농장을 가동하려면 최소 2년 이상이 걸리는데, 앞으로의 생계가 막막하다”며 “현실적인 피해 보상 및 지원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최씨는 아내와 함께 팔순의 아버지를 모시고 있는데, 이번 설 명절에는 구제역 때문에 해마다 서울과 대전에서 집으로 오는 아들과 딸의 얼굴조차 보지 못하고 쓸쓸한 명절을 보내게 됐다고 한숨지었다.


◇충북 증평군 여성단체협의회 회원들이 28일 오후 증평읍 용강리 구제역 통제초소에서 차량에 뿌린 소독약이 도로에 흘러내리면서 얼어붙은 얼음을 제거하고 있다.
증평=연합뉴스
축산농가들은 살처분 보상금 지급이 원활하게 이뤄질지에 대해서도 걱정이다. 정부가 구제역 발생 책임 소재를 따져 보상액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살처분 보상금은 전액 국비로, 생계안정자금은 국비 70%, 도비 30%로 지급되는데, 살처분 보상금과 생계안정자금 지급이 지연되고 있어 더욱 울상이다.

충남 천안시의 경우 지금까지 살처분 농가 대부분에 50%의 보상금을 지급했다. 그러나 일부 농가에서는 “정부가 최소한 살처분 보상 약속을 지킬 것을 믿지만 피해 규모 산정 등을 놓고 적지 않은 마찰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구제역이 진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가 축산업 규모화와 방역 강화를 위해 추진한다는 ‘축산업허가제’에 대해서도 농민들 대다수는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가축 전염병 자체가 농가에서 방어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난 상황이고, 정확한 역학조사 결과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축산업허가제 운운하는 것은 구제역 발생의 책임을 농가들에 전가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특히 가족 일손에 의지하는 영세 한우 사육농들은 “축산업허가제가 시행되면 대농은 살겠지만 영세농은 모두 죽게 될 것”이라며 “가축을 잃은 백성들의 아픔을 어루만져주지는 못할망정, 관리 책임을 묻겠다는 정부의 태도에 기가 막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구제역으로 마을 전체가 초토화된 천안시 병천면 관성리와 매성리 주민들은 “방역관리시스템의 허점을 빨리 보완해야 하고, 의욕을 잃은 농가들이 재기할 수 있도록 정부가 빨리 여건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문화복지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