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50년 한국인 100명 중 13명 ‘80세 이상’ 초고령사회 진입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4. 5. 07:38


2050년 한국인 100명 중 13명 ‘80세 이상’
오는 2050년에 80세 이상의 한국인이 인구 100명 중 13명에 이르면서 급속히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5일 전망됐다.

또한, 85세 이상의 초고령 노인 인구가 전체의 7%에 육박하고 국민연금 수급 연령인 65세 이상은 전체의 34%에 달해 향후 천문학적인 복지 비용으로 몸살을 앓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사회 생산활동 주축 인구인 20~40대는 전체 인구의 30%까지 줄어 심각한 인력난과 더불어 경제 발전 및 경제 규모 유지에 큰 장애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2050년에 도달하면 연금 수급자보다 이들을 위해 돈을 벌어야 할 주력 생산인구가 더 적어지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는 말이다.

◇초고령 인구 쓰나미..'노인의 나라' 우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내놓은 각국별 인구 추계에 따르면 한국의 2050년 총인구는 4천433만6천997명이며 이 가운데 80세 이상은 559만1천64명으로 전체의 12.6%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즉 2050년에 80세 이상 인구는 2000년보다 무려 11.5배가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80세 이상 인구는 1980년 17만8천222명, 2000년 48만3천387명이었다. 결국 우리나라가 2050년에는 초고령자가 주류를 이루는 '노인의 나라'로 변모한다는 의미다.

1980년 총인구는 3천800만명, 2000년은 4천700만명으로 80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0.46%와 1%에 불과했다.

85세 이상 초고령자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050년에 85세 이상 인구는 무려 308만6천85명으로 전체 인구의 7%에 육박하게 된다. 이는 2000년의 17만3천273명에서 50년 만에 무려 18배가 급증하는 셈이다. 1980년에 85세 이상 인구는 5만9천231명에 불과했다.

특히 국민연금 수급 연령층인 65세 이상 인구는 2050년에는 1천527만590명으로 전체 인구의 34.4%에 달할 전망이라 연금 정책을 근본적으로 수정하지 않는 한 국가 재정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연금수급자보다 주력 생산인구 더 적어

가장 큰 문제는 노인을 먹여 살릴 인구가 급감해 2050년이 되면 감당하지 못할 수준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점이다.

OECD는 2050년 한국의 20~49세 인구가 1천343만9천440명으로 전체 인구의 30%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00년의 2천367만259명보다 무려 1천만명 이상 줄어든 것으로, 이 정도면 일선 산업 현장에서 청.장년층을 찾아보기 어려워진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2000년에 20~40대는 전체 인구의 50%를 점유해 경제 발전에 큰 원동력이 됐다. 1980년에도 20~40대는 1천590만2천941명으로 전체 인구의 42%를 차지했다. 2050년에는 인구가 1980년보다 600만명 가량 늘어남에도 오히려 20~40대 인구는 250만명 가량 줄어 경제 활동의 활력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셈이다.

특히 가장 활발하게 사회 활동을 하는 25~34세 인구는 2050년에 이르면 2000년에 비해 반 토막이 날 것으로 보인다. 2050년에 25~34세 인구는 409만1천927명으로 2000년의 860만905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1980년의 559만8천11명보다도 150만명 가량 적다.

더욱 심각한 것은 미래의 희망인 유아.청소년층도 급감하게 된다는 점이다.

0~19세 인구는 1980년 1천747만464명에서 2000년 1천375만3천661명을 기록한 이후 2050년에는 645만2천380명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따라 출산율의 획기적 개선 등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정부 또한 인구 고령화 추세가 심각하다는 점을 우려해 세자녀 가구 지원 등 다양한 출산 지원책을 동원하고 있다“면서 “인구가 줄어들면 내수가 줄고 잠재 성장률이 줄어드는 등 장기적으로 심각한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문화복지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