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李대통령, 3·1절 기념사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3. 2. 07:26


통합·화합 강조… 세종시 논란 극복 호소李대통령, 3·1절 기념사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후 세번째 3·1절 기념사는 ‘국민 통합’이 키워드다. 나이, 신분, 지역, 종교를 뛰어넘은 3·1운동 정신을 되새기며 화합·단결해온 민족의 발자취를 알리는 데 줄곧 초점을 맞췄다. “모두가 작은 차이를 넘어 더 큰 가치 속에서 화합하는 공화의 정신을 실천했다”는 게 포인트다.

그런 만큼 통합의 ‘DNA’는 계승·승화돼야 한다는 게 핵심 메시지다. 이 대통령은 선진화, 국운 상승을 이유로 꼽았다. 그러나 속내는 세종시다. 몇달째 세종시 늪에서 국론분열 중인 현 정국은 통합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날 기념사가 사실상 세종시용 대국민 호소문으로 읽히는 까닭이다. 세종시라는 단어는 한 차례도 쓰지 않았지만 ‘세종시 수정=국가백년대계’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곳곳에서 엿보였다. 이는 기념사 초안에선 보다 분명했었다. “작은 차이를 넘어 최종 결과에 승복함으로써 커다란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구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최종 결과 승복’은 세종시 당론화와 국회 표결, 나아가 전날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시사했던 ‘국민투표’를 겨냥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실제 연설에서 이 표현이 빠진 것은 괜한 오해를 피하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통합을 지향하는 현 정부의 ‘진정성’도 부각시켰다. “(공화의) 정신은 국민의 민생 향상을 위해 서로를 인정, 존중하는 중도실용주의의 정신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청와대 한 참모는 “세종시는 국민통합으로 나아가자는 ‘공화’의 관점에서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념사는 또 일관된 대북 목소리를 담았다. 남한을 진정한 대화 파트너로 여기고 핵 개발 대신 상생·발전을 촉구했다. 통합의 정신을 남북관계에도 적용하자는 것이다. 그랜드 바겐 논의를 북측에 압박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다. 다만 한일관계에 대한 주문은 눈에 띄지 않았다. 일본에 대한 언급은 있었으나, 관용·포용을 설명하는 데 동원된 정도였다. 이 대통령은 “우리 민족은 일본의 무신(無信)과 소의(少義)를 죄하려거나 책하려 하지 않았다”며 “일본의 비정상을 바로잡아 옳은 길로 이끌고자 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은 “과거사 해결과 양국 미래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는 일본이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의 1월 세종시 수정안 발표 후 처음으로 이날 충남을 찾아 3·1절 기념식 후 참석자들과 오찬을 함께했다. 내주 충남을 다시 찾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부인 김윤옥 여사, 청와대 참모진과 같이 한복을 입고 행사에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문화복지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