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주요 의제로”李대통령, 다보스포럼서 특별연설
서울 G20회의 ‘3대 운영방향’ 제시
이명박 대통령은 28일 세계경제의 불안정성 해소와 관련해 “올 11월 서울에서 개최하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GFSN)’ 구축을 주요 의제로 추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 콩그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0회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 참석해 ‘서울 G20 정상회의, 주요 과제와 도전’이란 제목의 특별연설을 통해 “국제자본 흐름의 급격한 변동성으로 인해 각국이 과다하게 외환보유액을 축적하는 등과 같은 신흥경제국과 개도국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서”라며 GFSN 구축 방안을 제안했다. GFSN 구축은 기존의 양국 및 역내 금융협력 규모를 세계적 차원으로 확대해 위기를 관리하자는 취지다.
이 대통령은 연설에서 세계경제 회복세를 공고화하기 위한 서울 G20 정상회의의 ‘3대 운영 방향’으로 ▲G20 합의사항 철저 이행 ▲국제 개발격차 해소 및 GFSN 구축 ▲비회원국 아웃리치(외연확대) 및 비즈니스 서밋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금융 규제·감독과 관련해 최근 큰 관심사가 되고 있는 대규모 금융기관의 ‘대마불사(too-big-to-fail: 규모만 크면 망하지 않는다는 논리)’에 대해 더욱 심도 있는 논의와 대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최근 대형 금융기관 규모 확대 억제 등을 골자로 강력히 추진 중인 금융산업 개혁안과 흐름을 같이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연설 후 클라우스 슈워브 WEF 회장과의 일문일답에서 “이번 경제위기에 금융기관들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위기대응은 금융산업 종사자들이 수동적으로 할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변화의 안을 제시하는 게 정부가 주도하는 것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연설에서 또 “개도국과 선진국 간 개발 격차를 줄이는 문제도 세계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뤄져야 한다”며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의 어젠다 채택을 다짐했다. 이어 “G20 비회원국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는 등 아웃리치 노력을 적극 펼쳐나갈 것”이라며 “서울 G20 정상회의 과정에 세계 유수 기업인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서밋 개최를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화복지신문)
기사 출처 : [제클뉴스]
http://news.zecl.com/news_view.php?bo_table=m1&wr_id=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