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中 “전기자전거를 어찌하오리까”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1. 20. 05:24


中 “전기자전거를 어찌하오리까”시속 40㎞ 질주… 교통규제 대상 제외
관련 사고 사망 年2000명 훌쩍 넘어
95% 납전지 사용 ‘친환경’ 취지 무색

<월스트리트저널 제공>
중국에서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권장됐던 전기자전거(사진)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성능 좋은 전기자전거가 많은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데다 환경오염 물질도 다량 배출하기 때문이라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이 18일 보도했다.

중국 전기자전거 산업은 1960년대 마오쩌둥(毛澤東) 계획경제 아래 시작됐다. 1990년대 일부 도시가 석유 오토바이를 규제하면서 전기자전거 보급은 본격화됐다. 결정적으로 붐을 맞은 것은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창궐이었다. 사스 전파를 두려워한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피했고 그 덕에 전기자전거 수요가 급증했다. 2002년 150만대 판매된 전기자전거는 2003년 400만대가 팔렸다. 현재 중국 거리의 전기자전거는 1억2000만대로 추산된다.

전기자전거가 늘면서 관련 교통사고도 증가했다. 2001년 34명이던 전기자전거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2년 뒤 589명으로 늘었다. 200 7년 전국적으로 2469명이 전기자전거 관련 교통사고로 숨졌다. 중국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9만명의 약 3%에 해당한다.

이제 중국에서 전기자전거가 ‘조용한 살인자’ ‘거리의 무법자’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최신 전기자전거는 덩치가 크고 속도는 빨라졌다. 시속 40㎞까지 달릴 수 있지만 도로교통 규제 대상은 아니다. 페달이 달린 탈것은 ‘자전거’로 분류돼 면허증을 딸 필요도 없다. 그나마 전기자전거는 친환경적이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전기자전거 95%가 납전지를 사용하고 충전용 전기도 화력발전소에서 생산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곳곳에서 전기자전거 규제가 생겨났다. 베이징과 푸저우(福州)는 2002년 전기자전거를 금지했다(베이징은 2006년 해제). 창사(長沙), 원저우(溫州) 등에서는 최근 대대적인 과속단속이 벌어져 수만대가 적발됐다. (문화복지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