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 ‘한지붕 세가족’ 분화
조기전대 싸고 친이-친박-친이재오로
미디어 관련 3개법(신문법·방송법·IP TV법) 통과로 모처럼 단합된 모습을 보였던 한나라당이 ‘한지붕 두가족’에서 ‘한지붕 세가족’으로 더욱 분화될 조짐이다. 친이(친이명박)계가 제기한 9월 조기전당대회 개최론에 대해 친박(친박근혜) 진영이 등을 돌린 데 이어 친이계 내부에서조차 전대의 목적과 방법을 놓고 갈등이 이는 등 분화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법 통과 직후 친이직계를 중심으로 터져 나온 9월 조기전대 개최론은 8월로 예정된 개각 및 청와대 개편과 맞물려 지도부 교체를 통한 당 쇄신작업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집권 2년차 이명박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새 지도부가 나서 10월 재·보선과 내년 6월로 예정된 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초 9월 조기전대를 반대했던 범친이계 일부 의원들도 최근에는 찬성측으로 돌아서는 분위기다. 친이계 한 의원은 “정기국회를 마치고 전대를 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지만 내각 개편과 이명박 정부 쇄신의 진정성을 위해선 당 쇄신이 전제가 돼야 하기 때문에 9월 전대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9월 조기전대를 둘러싼 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정계복귀설은 친박은 물론 친이 내부에서조차 조기전대의 걸림돌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23일 치러진 서울시당위원장 선거에서 이 전 최고위원이 지지한 것으로 알려진 전여옥 의원의 낙선은 친이직계와 친이재오계를 분화시킬 조짐마저 보인다. 친이직계 한 의원은 “애초 당 쇄신을 위해 제기됐던 조기전대론이 이 전 최고위원이 나온다고 하면서 문제가 꼬였다”고 말했다. 반면 친이재오계 내부에서는 당헌을 개정,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토록 해 이 전 최고위원을 복귀시키기 위한 방안도 거론된다. 애초부터 ‘박근혜 전 대표 흠집내기’라며 조기전대 자체를 반대했던 친박 진영은 이번에도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 실제로 친박 측근 의원들로 구성된 선진포럼 소속 의원 15명은 27일 단체로 백두산 등정에 나서는 등 유유자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사 출처 : [제클뉴스]
http://news.zecl.com/news_view.php?bo_table=m1&wr_id=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