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박근혜 대표추대론 유야무야“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6. 11. 11:07





굴림 돋음 바탕 맑은고딕

박근혜 대표추대론 유야무야


한나라당 내 '박근혜 대표 추대론'이 우여곡절 끝에 유야무야됐다.

친박 중진들의 조직적인 반발로 박희태 대표와 원희룡 쇄신특위 위원장이 10일 박 대표의 조건부 사퇴론과 화합형 대표 추대론을 전면 부정한 데 따른 것이다. 쇄신특위는 요지부동인 박근혜 전 대표를 겨냥하는 대신 청와대 쪽으로 눈길을 돌렸다.

원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쇄신특위 회의에서 “'추대'나 '화합형 대표'를 결정하거나 의견제시를 한 일이 전혀 없다.“고 발을 뺐다.

앞서 친박계 중진들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박 대표의 '조건부 사퇴론'과 '화합형 대표론'에 강력 반발했다.

이경재 의원은 “국민은 누가 당 대표를 맡는지 관심없다. 외형적으로 화합을 이루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면서 “청와대가 감동을 줄 수 있는 리더십을 보여주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박 대표가 '화합형 대표론'을 긍정하고, 시한까지 정해놓았다는데 분명히 말해달라.“고 해명을 요구했다.

홍사덕 의원은 “박 대표가 6월 말을 시한으로 자신의 직과 관련해 말한 것은 실수“라고 압박했다. 박종근 의원도 “최고위원회와 쇄신특위가 협상하는 것 같은 모습을 보이는 것은 정도가 아니다.“고 일갈했다.

박 전 대표가 10월 재·보선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기 등판해 소득 없이 상처만 입길 바라지 않는 친박계로서는 박 대표의 사퇴를 막음으로써 '박근혜 대표 추대론'의 싹을 자르겠다는 계산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박 대표는 “화합형 대표 추대론이라는 것은 들은 적도, 얘기한 적도 없다. 6월 말까지 어떻게 한다고 말한 적도 없다.“며 '조건부 사퇴론'을 부인했다.

그러자 쇄신특위도 친박을 더 이상 압박하지 않고 청와대를 공격하는 데 힘을 쏟는 분위기다.

친이계 쇄신위원인 김성태 의원은 청와대의 국정운영 기조와 관련해 3대 개선안을 쇄신특위에 건의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가 지난 15개월간 국민과 동떨어졌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면서 “국정운영 기조가 변하지 않으면 쇄신도, 화합도 없다.“고 강조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